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귀가 간지럽거나 귀지가 많이 쌓이게 되면 잘 들리지 않는 것 같고 면봉으로 가려운 부분도 긁고 청소를 해줘야 기분이 좋지요. 하지만 면봉으로 귀 청소하면 오히려 악영향을 끼진 친다고 합니다. 면봉으로 귀 청소하면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확인해 볼게요.

     

    면봉으로 귀를 청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알려면 귀지가 왜 존재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귀지는 사실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미국의 한 박사는 '귀지는 외이도를 깨끗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귀지는 먼지와 이물질이 고막에 들어가지 않게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향균작용과 윤활유 역할까지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한 가지 더 놀라운 사실은 자정작용을 한다는 사실! 시간이 지나 귀지가 마르고 턱을 움직이면 오래된 귀지가 귀에서 빠져나오게 됩니다.

     

    면봉은 사실 큰 해를 끼치지 않지만 오히려 귀지를 귀 깊숙한 곳으로 밀어 넣어 자체적으로 청소하는 자정작용을 방해하기도 합니다. 청소가 불가능한 위치로 밀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로 인해 세균, 곰팡이 등이 귀지와 함께 인체에 들어가 통증과 감염을 일으켜 우리 몸을 더욱 악화 시킬 수 있습니다. 귀지를 잘못 건드려 외이도를 막거나 면봉을 깊숙이 넣어 고막을 건드리거나 터뜨릴 수 있기 때문에 웬만하면 면봉 사용은 자제하는 게 좋습니다.

     

    면봉을 사용해야 한다면 안쪽 깊숙한 곳이 아닌 바깥쪽 청소에 쓰는게 좋습니다.

     

    귀지의 윤활유 역할을 생각해 보면 귀지를 제거 하면 귀가 건조해진다는 점도 유념해야 합니다. 귀가 건조해지면 가려움증을 해소하기 위해 또 면봉을 사용해야 하니, 면봉 사용은 애초부터 시작을 말아야 합니다.

     

    TV를 통해 가끔 나오는 방법이긴 한데 식초, 알코올, 물을 1:1:1 비율로 섞어 양쪽 귀에 한 방울씩 떨어트려 줍니다. 이렇게 하면 귀를 청소할 수 있는데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이라고 합니다.

    반응형